부부, 연인관계에서 서운한 마음 잘 표현하는 방법

상담을 받으러 오시는 부부, 커플 분들의 가장 많은 고민 중 하나가“너무 싸워서 힘들어요!”입니다.​알고 보면 싸움의 주제는 정말 사소한 것에서 시작된 경우가 많습니다.어떻게 하면 싸움을 현명하게 풀어나갈 수 있을까요?화내지 않고 서운한 마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소한 일이 큰 부부 싸움으로 번지는 이유는, 한쪽에서 먼저 화를 내기 때문인데요.그래서인지, 많은 분들이 단순히 화를 내지 않으면 소개 더보기 부부, 연인관계에서 서운한 마음 잘 표현하는 방법[…]

부부싸움에 하지 말아야 할 말

       아무리 사랑하는 관계라고 해도 갈등이 일어나고 다투고 하는 것은 참 자연스러운 일입니다.​그리고 그 갈등의 시작은 참 사소한 것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을 비난하시보다는 ‘나 전달법’으로 마음을 잘 표현하고공감적 대화를 하면 좋겠지만 감정 조절이 안돼서 격한 언쟁으로 갈 때가 많습니다.그래서 결국 “너무 싸워서 지쳤어요”, “싸우는게 너무 힘들어서 이제 헤어지고 싶어요”라며끝을 바라보며 관계를 정리하는 일이 벌어지곤 소개 더보기 부부싸움에 하지 말아야 할 말[…]

부부/커플의 애착형성을 위한 솔루션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부부 커플이 어떻게 하면 서로에게 애착관계가 될 수 있을까?’ 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많은 부부, 커플들이 “우리는 마음이 안 통하는 것 같아요.”, “마음을 나눌 수가 없어요.” 라는 호소를 하십니다. 더 안타까운 경우는 “연애할 때는 안 그랬어요. 참 공감도 잘 해줬던 것 같은데, 이제 나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나 봐요.” 라며 속상해 하십니다. 소개 더보기 부부/커플의 애착형성을 위한 솔루션[…]

수치심 권하는 사회*브레네 브라운 / 서현정 옮김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발표할 때 실수를 하게 되면 자신의 모습에 부끄러워하는 창피함과 수치심이라는 감정을 느낍니다. 하지만 창피함과는 달리 수치심은 자신의 근원을 흔드는 감정으로 자기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을 뿌리 채 부정하도록 만들기도 합니다. 수치심을 권하는 사회 책의 저자 브레네 브라운은 수치심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수치심은 나에게 결점이 있어서 사람들에게 거부당하고 소속될 가치가 없다고 믿는 극도로 고통스러운 느낌이나 소개 더보기 수치심 권하는 사회*브레네 브라운 / 서현정 옮김[…]

불안정 애착에서 안정애착으로의 변화와 회복

  이번에는 불안정 애착 유형이 안정애착으로 회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불안정 애착 유형에는,1. 타인과의 친밀감을 지나치게 갈망하고 관계에 집착하는 불안형2. 타인과 가까워지는 것을 불편해하는 회피형3. 타인과의 친밀감을 원하지만 선뜻 다가가지 못한 혼란형이 있습니다. ​불안정 애착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신의 감정을 지나치게 과하게 느끼거나, 무시하고 축소하기 때문에 일상에서의 경험들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인식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서조절에 소개 더보기 불안정 애착에서 안정애착으로의 변화와 회복[…]

부부/커플의 갈등 “서로 나쁜 사람 만들기_1”

부부/커플이 갈등상황일 때 서로의 단점을 폭로하면서 더 큰 싸움으로 가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요. 예를 들어 남편이 “당신 지금 진짜 불평이 너무 많아.”라고 할 때, 부인은 ” 내가 언제 그랬다고 그래?, “당신은 불평 안 하는 줄 알아?”, “그러니까 불평 안 하게 좀 잘 하면 되잖아?” 등의 자신의 행동을 부인하거나, 상대방을 공격하는 반응을 하는 경우가 많죠. 그렇게 소개 더보기 부부/커플의 갈등 “서로 나쁜 사람 만들기_1”[…]

상담주제 9. 타인의 평가가 진짜 “나”인 줄 알았어요.

상담주제 9. 타인의 평가가 진짜 “나”인 줄 알았어요.많은 사람들이 외부의 평가에 자신을 맡긴 채 살아간다. 하지만 타인의 평가가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좀 더 쉽게 그 평가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상담을 하면서 “나는 ‘나’를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을 하면 많은 분들이 당황한다. 대부분 그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가족을 비롯한 주변의 타인이 나를 소개 더보기 상담주제 9. 타인의 평가가 진짜 “나”인 줄 알았어요.[…]

상담주제 8. 의존성으로부터의 자유 _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상담주제 8. 의존성으로부터의 자유 _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인간관계에서 의존은 서로를 구속하며, 의존하는 역할의 가면과, 의존하는 사람을 감당하는 역할의 가면에 진짜 자기를 모른 채 살게 한다.가면을 벗고 진짜 나를 찾는다면, 극중 상태의 말처럼, 각자가 “나는 내 꺼”. “너는 네 꺼” 가 된다면, 서로를 힘들게 하는 인간관계에서 자유해진다. 진짜 자기 삶을 살게 되니 행복할 수밖에 없다. 극 소개 더보기 상담주제 8. 의존성으로부터의 자유 _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부부 대화에서 잊지 않아야 할 중요한 것, “마음의 거리”

부부 대화에서 잊지 않아야 할 중요한 것, “마음의 거리”부부가 대화를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서로의 “마음의 거리”이다.내 생각과 의견이 옳다는 것을 주장하고 싶은 마음도 나의 배우자가 나에게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부부가 대화를 하다가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격렬한 부부 싸움으로 치닫게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부부상담장면에서 빈번하게 호소되는 부부대화 문제의 원인 중 하나는 소개 더보기 부부 대화에서 잊지 않아야 할 중요한 것, “마음의 거리”[…]

감동의 순간이 있는 일, 심리상담

감동의 순간이 있는 일, 심리상담심리상담을 진행하면서 보게 되는 어떤 변화와 경험은 드라마 같고, 어떤 것들은 잔잔하고 소소하다. 나와 오래된 지인들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 보기 좋고, 부럽다고도 한다.  하지만 심리상담사로 일한다는 것이 다른 직업과 마찬가지로 항상 즐겁고 행복한 것만은 아니다. 때로는 힘들고 지치기도 한다. 그럼에도 나는 앞으로도 멈추지 않고 심리상담사로 살아갈 듯하다.그 가장 소개 더보기 감동의 순간이 있는 일, 심리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