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날씨] 공황장애 (Panic Disorder)

공황장애 (Panic Disorder)

공황장애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공황발작이 일어나고, 그 것이 다시 일어날 까봐 걱정하는 예기불안을 주된 특징으로 합니다. 공황발작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몰려드는 공포, 곧 죽을 것 같은 강렬한 불안입니다.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공황장애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공황발작이 일어나고, 그 것이 다시 일어날 까봐 걱정하는 예기불안을 주된 특징으로 합니다. 공황발작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몰려드는 공포, 곧 죽을 것 같은 강렬한 불안입니다.
DSM-5에 따르면, 공황발작이라고 진단되기 위해서는 갑자기 일어나는 강한 공포와 함께 다음의 13개 증상 중 4개 이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1)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매우 강하게 느껴지거나 심장박동수가 점점 빨라진다.
(2) 진땀을 흘린다.
(3) 몸이나 손발이 떨린다.
(4) 숨이 가쁘거나 막히는 느낌이 든다.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6) 가슴의 통증이나 답답함이 느껴진다.
(7) 구토감이나 복부의 통증이 있다.
(8) 어지럽고 몽롱하며 기절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9) 한기를 느끼거나 열이 나는 느낌이 든다.
(10) 감각이상증(마비감이나 찌릿찌릿한 감각)
(11) 비현실감이나 자기가 자신과 분리된 듯한 이인감을 느낀다.
(12) 자기통제를 상실하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13) 죽을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며 10분 이내에 그 증상이 최고조에 도달하여 극심한 공포를 일으킵니다. 대부분 첫 공황발작은 피곤한 상태, 성행위, 전서적 충격 등을 경험한 직후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거의 언제 나타날 지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공황발작을 경험하게 되면 죽을 것 같은 공포로 인해 흔히 응급실을 찾게 되며 같은 말을 되풀이하거나 말을 더듬는 등 매우 당황하는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공황장애로 진단되려면 이러한 공황발작을 경험한 이후에 다음의 두 가지 등상 중 하나 이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1) 공황발작이나 그 후유증(자기통제의 상실, 심장발작, 정신이상)에 대해 지속적으로 걱정한다. (2) 공황발작에 대하여 극심한 행동의 변화(예: 공황발작을 피하기 위해 운동을 하지 않거나 낯선 상황을 피하는 행동)가 나타난다.

공황장애는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청년기(청소년기 후반~30대 중반)에 주로 발병하며 평균발병연령은 25세입니다. 공황장애는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환자의 약 50%는 경미한 증상을 지니고 살아가며 10~20%는 심각한 정도의 증상을 경험하며 고통스럽게 살아가게 됩니다. 만성화 된 환자의 40~80%는 우울증을 경험하게 되고 자살의 가능성도 높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알콜이나 약물을 남용하기도 하고 강박증이나 건강염려증을 함께 나타낼 수도 있다고 합니다.

2. 원인과 치료

공황장애는 매우 극심한 불안증상과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수반하는 불안장애이기 때문에 생물학적 원인과 깊히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었습니다.

과잉호흡 이론에 따르면, 호흡기능과 관련된 자율신경계의 생물학적 결함 때문에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의 수준을 낮게 유지해야 하며 그 결과 깊은 호흡을 빨리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과잉호흡이 공황발작의 유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또한 질식오경보 이론이 제안되었는데, 공황장애 환자는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의 수준에 과도하게 예민한 생화학적 취약성을 지나고 있으며 락테이트, 요힘빈, 카페인, 이산화탄소의 흡입, 과잉호흡 등과 같은 생화학적 변화가 공황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뇌중추의 질식감찰기라는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감찰하는 생리적 기제가 있는데, 이 것이 잘못된 질식경보를 내림으로써 순간적으로 호흡곤란을 느끼고 과잉호흡과 공황발작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공황발작이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발생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그 원인에 대해 크게 3가지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공황발작은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에 대한 방어기제가 작동하지 못 했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견해입니다. 따라서 억압되어 있던 충동이 방출될 것에 대한 극심한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둘째, 공황발작의 증상을 어린아이가 어머니와 이별할 때 나타내는 분리불안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입니다. 광장공포증이 수반되는 공황장애는 사람이 많이 넓은 장소에 혼자 있는 상황이 부모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유아기의 분리불안을 재현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셋째, 공황발작이 무의식적인 상실 경험과 관련이 있다는 견해입니다. 공황장애 환자는 대부분 공황발작을 경험하기 전에 ‘상실’과 관련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인 공황장애 환자 중 50%가 의미 있는 타인을 상실한 후에 공황발작을 경험했으며, 특히 17세 이전에 부모를 상실한 경우 공황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합니다.

인지적 입장에서는 공황발작이 신체감각을 위험한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파국적 오해석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았습니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평소보다 강하거나 불규칙한 심장박동이나 흉부통증을 심장마비의 전조로, 호흡곤란을 질식 가능성으로, 현기증과 몸 떨림을 자신이 미치거나 통제불능상태로 빠지는 것으로 파국적인 해석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반복적으로 공황발작을 경험하는 경우, 이러한 파국적 해석 과정은 빠르고 자동화되어 자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진 파국적 해석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황발작을 한 번 경험하고 나면, 매우 예민해져서 자신의 신체감각을 계속 관찰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각하지 못하는 신체감각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감각을 신체적, 심리적 질병의 증거로 생각하게 됩니다. 또한 공황발작을 막기 위해 다양한 회피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파국적 해석과 관련된 부정적 신념을 강화하게 됩니다. 심장마비에 대한 걱정으로 심한 운동을 피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직장을 그만두는 회피행동을 할 경우, 그 사람은 이러한 회피행동으로 인해 공황발작, 즉 심장마비의 가능성을 방지했다고 생각함으로써 부정적 신념(“나는 심장에 문제가 있다”)를 지속하게 되는 것입니다.

공황장애에는 크게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적용됩니다.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이 사용됩니다.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은 치료효과가 빨리 나타나지만 신체적, 심리적 의존이 나타나서 약물을 중단하기 어려우며, 삼환계 항우울제는 어지러움, 입마름, 성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성기능 장애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인지행동치료는 공황장애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불안을 조절하는 복식호흡 훈련과 긴장이완훈련, 신체적 감각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의 인지적 수정, 광장공포증과 관련된 공포상황에의 점진적 노출 등과 같은 치료적 요소로 구성됩니다.

참고서적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2017, 학지사)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